티스토리 뷰

생활 정보

김치 젓갈 종류의 마법, 그 한 숟갈이 다르다

포렌식 엔지니어의 삶 2025. 7. 18. 16:12
반응형

👃 시작은 '냄새'에서 온다 

눈을 감아보세요.
엄마가 김치를 담그는 날, 부엌 가득 퍼지는
톡 쏘는 젓갈 냄새,
그 속에 숨은 깊고 진한 감칠맛의 기운.

손끝엔 마늘과 고춧가루가 배어 있고,
큰 대야 안에서 김치 속을 버무리는
그 찰진 촉감까지 떠오르지 않나요?

사실 그 향의 중심엔,
‘젓갈’이라는 감춰진 주인공이 있었습니다.

 


🧂 젓갈 없인 김치도 없다 – 김치 맛의 핵심

김치 맛은 고춧가루와 마늘로만 나는 게 아닙니다.
진짜 깊은 맛은 바로 ‘젓갈’에서 결정됩니다.

각 지역, 각 집안마다 쓰는 젓갈이 다르고,
그 젓갈이 바로 그 집 김치의 정체성을 말해주죠.

김치가 밋밋하거나 텁텁하게 느껴졌던 적이 있으셨나요?
아마 젓갈이 부족하거나 잘못 들어갔을 가능성이 큽니다.


🐟 김치에 들어가는 대표 젓갈 종류

1. 새우젓

  • 가장 널리 쓰이는 젓갈
  • 배추김치, 열무김치, 총각김치에 주로 사용
  • 특징: 단맛과 감칠맛, 소금간 역할 동시에 수행
  • 여름 김치엔 오젓(5월 새우젓), 겨울 김치엔 추젓(가을 젓갈)

✅ 
“김치 속을 한 입 베어 물었을 때,
그 부드럽게 퍼지는 짭조름함…
바로 새우젓이 녹아든 풍미예요.”


2. 멸치액젓 / 까나리액젓

  • 국물용으로도 쓰이며, 김치에 가장 많이 사용
  • 배추김치, 백김치, 깍두기 등에 활용
  • 멸치 → 진하고 묵직함, 까나리 → 시원하고 산뜻함
  • 일부 지역에선 두 가지를 섞어 쓰기도 함

✅ 
“외갓집 김치는 늘 멸치액젓 향이 강했어요.
그래서 지금도 그 냄새만 맡아도
외할머니 손맛이 떠오릅니다.”


3. 갈치젓 / 조기젓 / 황석어젓

  • 전라도, 제주 지역 김치에 많이 들어감
  • 특징: 발효된 생선살이 김치 속에 녹아 깊은 감칠맛 제공
  • 향이 강하고 짭조름한 풍미 → 김치가 오래가고 무르지 않음

✅ 
“입안에서 발효된 생선살이 사르르 녹을 때,
그 짙은 향이 속 깊이 퍼져버려요.”


4. 오징어젓 / 낙지젓 / 창란젓

  • 직접 김치에 넣기보다는 일부 김치(겉절이 등)에 사용
  • 감칠맛 강화 + 단짠 매력
  • 깻잎김치, 겉절이, 겉잎 버무림 등에 포인트용

 

📍 지역별 젓갈 사용 특징

지역주요 젓갈 사용특징
전라도 황석어젓, 갈치젓 향이 강하고 깊음
충청도 새우젓, 멸치액젓 깔끔하고 부드러운 감칠맛
경상도 까나리액젓, 조기젓 시원한 국물 맛 강조
제주도 자리젓, 갈치젓 발효향 진함, 저장성 우수
 

🔮 당신의 김치가 바뀌는 순간

만약, 다음 김장을 앞두고
젓갈 하나만 바꾼다면 어떻게 될까요?

바로 그 한 스푼이 당신네 김치 맛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 새우젓을 멸치액젓으로 바꾸면? → 묵직한 맛 증가
  • 까나리액젓을 섞으면? → 감칠맛 + 시원한 뒷맛
  • 갈치젓 한 숟갈 넣으면? → 풍부하고 오래 가는 맛

다음 김장 땐 한 번만 다르게 넣어보세요.
당신의 김치 맛이 “그 집 김치”로 불리게 될지도 몰라요.


🧠 그때 그 김치, 그 젓갈

“엄마가 담근 김치는 늘 새우젓 향이 나서 좋았어.”
“할머니 김치는 유난히 짜고 진했는데, 알고 보니 갈치젓을 넣었더라고요.”
“우리 동네 시장 할매는 까나리액젓 아니면 김치 안 담근다 혔지.”

이처럼 젓갈은 기억의 향을 품은 재료입니다.
김치만큼이나 젓갈도 사람마다 ‘맛의 기준’을 만들어 줍니다.

 


📌 정리 – 김치 맛은 결국 젓갈이 책임진다

김치는 발효 음식입니다.
발효에는 시간이 필요하고, 그 시간 속에서 가장 큰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젓갈’**입니다.

향을 만들고, 감칠맛을 주고, 김치의 성격을 정하는 것,
그 모든 중심에 젓갈이 있습니다.


🧂 마무리 한마디

다음에 김장할 땐 꼭 물어보세요.

“이번엔 어떤 젓갈 넣을까?”

그 선택 하나가,
당신 식탁에 올라오는 김치 맛을 완전히 바꿔놓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