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도입: 안드로이드 16, 통화 기록 포렌식의 난이도를 높이다
디지털 포렌식 전문가라면, 모바일 운영체제의 업데이트가 증거 수집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잘 알고 계실 것입니다. 구글의 최신 OS인 안드로이드 16 (코드명 'Baklava' 등으로 불릴 가능성)은 더욱 강화된 보안 기능과 새로운 저장 방식(예: $\text{FBE - File-Based Encryption}$의 강화, 모드의 도입)을 탑재하여, 기존의 논리적/물리적 추출 기법만으로는 접근이 어려워진 영역들이 생겨났습니다. 특히 범죄 수사에서 결정적인 증거가 되는 통화 기록 (Call Logs)은 그 저장 구조와 접근 권한이 더욱 복잡해져, 섬세하고 고도화된 포렌식 기술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철옹성 같아 보이는 새로운 시스템 속에서도 진실의 흔적은 항상 남아있습니다. 본 블로그 글에서는 안드로이드 16 환경에서 통화 기록을 성공적으로 포렌식하고, 이를 법적 증거 자료로 확보한 구체적인 사례와 기술적 분석 과정을 기술적으로 깊이 있게 다루고자 합니다. 사건과 관련하여 고객님이 저에게 포렌식 작업을 의뢰하셨기 때문에, 저는 제가 사용할 수 있는 모든 디지털 포렌식 기술을 동원하여 사실관계에 근거한 디지털 증거를 확보하는 데 온 힘을 쏟을 것입니다.
1. 안드로이드 16 환경 변화와 통화 기록 저장 구조의 이해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서 통화 기록은 전통적으로 시스템 데이터 영역의 데이터베이스 파일 형태로 저장됩니다.
- 주요 저장 위치: (버전에 따라 다소 상이할 수 있음)
- 핵심 테이블: 테이블
- : 전화번호 (마스킹될 수 있음)
- : 통화 시작 시간 (Epoch Time, 밀리초 단위)
- : 통화 지속 시간 (초 단위)
- : 통화 유형 ( 등)
안드로이드 16의 새로운 포렌식 난제:
- 및 : $\text{Android 16}$에서 도입된 $\text{Advanced Protection}$ 모드는 $\text{Verified Boot, Runtime Integrity}$ 등의 강력한 보안을 적용하며, 침입 로깅 ($\text{Intrusion Logging}$) 기능을 통해 시스템 이벤트를 암호화된 클라우드에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는 통화 기록 자체는 아니지만, 사건 발생 시점의 디바이스 활동 타임라인 재구성에 결정적인 보조 증거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 강화: 앱의 데이터 접근 범위가 더욱 엄격해져, 시스템 앱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기 위한 권한 획득 또는 특정 추출 기법의 난이도가 증가했습니다.
- 데이터 암호화 기술()의 진화: 및 $\text{Inline Encryption}$의 최적화로, 장비가 잠긴 상태($\text{AFU - After First Unlock}$ 이전)에서의 데이터 획득이 사실상 불가능해지거나, 공격에 대한 저항성이 더욱 높아졌습니다.
2. 안드로이드 16 통화 기록 포렌식 성공 사례 분석 (가상의 시나리오)
2.1. 사건 개요 및 증거 확보 목표
특정 금융 사기 사건의 핵심 용의자 A의 안드로이드 16 탑재 최신 스마트폰이 압수되었습니다. A는 통화 기록을 주기적으로 삭제했으나, 포렌식 팀은 삭제된 통화 기록 데이터베이스 파일()의 미할당 영역에서 특정 시간대의 통화 내역을 복구하여 사기 공범과의 연락 사실을 입증하고자 했습니다.
2.2. 포렌식 증거 획득 과정 (기술적 상세 내용)
- (데이터 획득):
- 선택된 기법: 취약점과 유사한 레벨의 취약점을 활용한 을 시도했습니다. (새로운 안드로이드 버전에서는 $\text{Full Physical Acquisition}$이 가장 선호되나, $\text{Chip-off}$나 $\text{JTAG}$이 어려울 경우 레벨 익스플로잇이 필수적입니다.)
- (최초 잠금 해제 후) 상태 유지: 장비를 압수 직후 차폐 장치 ()에 보관하여 전원이 꺼지지 않도록 하고, 잠금 해제() 상태를 유지한 채 방식으로 명령을 활용한 이미지 복사 또는 전문 포렌식 도구 ( 등)를 이용했습니다.
- 결과물: 용의자 기기의 내부 저장소 () 전체 이미지 확보.
- $\text{Data Parsing & Analysis}$ (데이터 분석):
- 파일 추출: 획득된 물리 이미지에서 파티션을 분석하여 파일을 추출했습니다.
- 저널/ 파일 분석: 통화 기록이 삭제되었을 경우, 데이터베이스의 무결성을 보장하는 파일 ()이나 파일 ()에 삭제되기 직전의 데이터가 남아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파일을 파서로 분석하여 삭제된 통화 내역의 되지 않은 트랜잭션 정보를 복구했습니다.
- (미할당 영역) : 파일 내에서 통화 기록 레코드가 삭제된 후 새로운 데이터로 덮어쓰이지 않은 미할당 영역 ()을 대상으로 기법을 적용했습니다.
- 핵심 기술: 통화 기록 레코드의 고유한 서명 () 구조 ( 등의 패턴)를 정의하고, 이 패턴에 일치하는 바이트 시퀀스를 물리 이미지 전체에서 검색하여 복구했습니다.
- 결정적 증거: 분석 결과, 삭제된 지 48시간 이내의 사기 공범과의 3건의 통화 내역 ()이 미할당 영역에서 데이터 형태로 성공적으로 복구되었습니다.
2.3. 증거의 법적 활용
복구된 통화 기록 데이터는 타임라인 분석 ()을 통해 용의자 A의 다른 행위 (예: 특정 위치 이동, 메시지 전송 등)와 연관 지어졌습니다. 특히, 복구된 통화 시각 (Epoch Time 변환)과 공범의 기지국 접속 기록을 대조하여 정확성() 및 무결성()을 검증함으로써, 법정에서 환경에서도 유효한 디지털 증거로 채택될 수 있었습니다.
결론: 안드로이드 16 보안 강화와 포렌식의 미래
안드로이드 16의 보안 강화는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보호라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지만, 포렌식 관점에서는 증거 발굴의 난이도를 극도로 높이고 있습니다.
포렌식의 핵심은 다음과 같습니다:
- 최신 기법 확보: 상태 유지 및 레벨 취약점 활용 능력이 필수.
- 복구 심화: 단순한 파일 분석을 넘어 파일, 등의 고도화된 기술 적용.
- 활용: 통화 기록 직접 복구가 어려울 경우, 시스템 로깅을 통해 사건 전후의 사용자 및 시스템 활동 타임라인을 재구성하는 보조 증거 활용 전략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16 시대의 포렌식 전문가는 운영체제의 내부 작동 원리에 대한 깊은 기술적 이해와 데이터베이스 복구 기술의 섬세한 적용을 통해, 보안의 장벽을 넘어 진실을 밝혀내는 결정적인 역할을 계속 수행해 나갈 것입니다.
'IT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드로이드 16 (Android 16) 카카오톡 포렌식 증거 자료를 확보한 결정적 사례 분석 (0) | 2025.10.07 |
---|---|
통화 기록 복구하여 확보한 결정적 증거 자료 사례 (0) | 2025.10.05 |
카톡 내용 포렌식 증거 확보의 구체적인 성공 사례 분석 (0) | 2025.10.05 |
컴퓨터 포렌식으로 밝혀낸 정보 유출의 흔적들 (0) | 2025.10.02 |
핸드폰 데이터 복구로 밝혀낸 데이트 폭력 증거 자료 사례 (0) | 2025.10.02 |
스마트폰 데이터 복구로 문자 메시지를 되찾은 사례 (0) | 2025.10.01 |
핸드폰 포렌식 비용, 증거 사진 복구 사례 (0) | 2025.10.01 |
삭제한 카톡 복구로 전세 사기 증거 확보하기 (0) | 2025.10.01 |